꿈꾸는 인플루언서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가 멸종 위기 포유류 천산갑을 거쳐 사람에게 전파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중국 대학의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중국 화난농업대학 연구진은 7일 "야생동물한테서 추출한 1000개 샘플을 검사한 결과, 천산갑에서 나온 균주 샘플과 확진 환자의 신종코로나바이러스의 게놈 서열이 99% 일치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천산갑은 멸종위기종이지만 중국 등에서는 고가에 밀거래 되는 동물로 고기나 비늘 등이 보양에 좋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아 밀렵이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는 박쥐에서 시작해 매개 동물을 거쳐 인간으로 전파됐을 것이라는 견해가 많습니다.


가오푸 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 연구팀은 지난달 22일 연구 보고서에서 "우한 코로나바이러스의 자연 숙주는 박쥐일 수 있다"며 "다만 박쥐와 인간 사이에는 알려지지 않은 중간 매개체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이번 우한 폐렴 진원지로 지목된 화난시장에서는 천산갑, 악어, 고슴도치, 사슴 등 각종 야생동물이 판매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연구진은 이번 실험의 샘플이 화난시장에서 나온 것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대학 측은 천산갑은 사람으로 전파되는 경로는 아직 확인되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출처: 동아일보




처음에 기사를 봤을 때.. 철갑산? 칠갑산? 했는데.. 천산갑 이네요.. 중국어로는 穿山甲 '산을 갑옷으로 입다?' 이런 의미의 이름이고.. 영어로는 Pangolin 입니다. 뭐 아무튼 내용을 보니 '중간 숙주는 천산갑이다!' 이런 내용이 아니라.. '99% 맞다'..네요...


이래 저래 이런 정보를 말하는 이유가 단지 인기를 끌기 위해서? 어그로를 끌기 위해서? 라고 생각될 수 있지만.. 꼭 그렇다고만은 생각하지 않습니다. 


게놈 백신이라는 것이 있는데요. 유전 정보를 통해 백신을 만들어 내는거죠. 이제 기다리는 건.. 이 기사가 단지 어그로가 아니라 정말로 유전 정보의 근거가 되어 사람들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것이겠죠?!


아래는 관련 단어 설명입니다. 


천산갑 - 유린목에 속하는 동물의 총칭으로 아르마딜로와 더불어 포유류 중에서 등껍질을 가진 동물이다. 유린목에는 천산갑과, 1과, 천산갑속1속뿐으로 종은 8종이며 전부 야생에 자생하고 있다.

 천산갑이 중간 숙주로 지목되는 이유 중엔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가 창궐한 시기는 겨울이며 이 시기 박쥐는 동면을 해서 박쥐와 인간의 접촉에 의한 직접 감염의 위험이 낮다는 것이 언급된다. 게다가 천산갑은 현재도 중국에서 고급 식재료로 밀유통되는데다 등비늘이 정력에 좋다는 낭설까지 있어 박쥐, 뱀처럼 식재료로써 사냥당하는 실정인지라 정황상 천산갑과 인간의 접촉 과정에서 전염이 일어났을 확률이 높으며, 천산갑을 비롯해 온 야생동물이 팔리는 우한의 야생동물 시장 역시 대규모 전염사태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으로 천산갑이 중간숙주로 작동한 지역은 중국 내에서 천산갑 분포율이 높은 화난으로 추측되고 있다.

(출처: 위키백과사전)


게놈 백신 - 기존 단백질 중심의 백신 대신에 유전자(DNA나 RNA)로 만들어진 백신으로 체내에서 직접 항체 제조를 함으로써, 제조 시간과 비용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출처: 과학백과사전)


게놈 - 게놈 또는 유전체는 한 개체의 모든 유전자와 유전자가 아닌 부분을 모두 포함한 총 염기서열이며, 한 생물종의 완전한 유전 정보의 총합이다. 게놈은 보통 DNA에 저장되어 있으며 일부 바이러스에는 RNA에 있다. '게놈'이라는 낱말은 유전자(Gene)와 염색체(chromosome)에 유래하였으며, 1920년 함부르크 대학교의 식물학 교수 한스 빙클러가 만든 말이다. 한국어권에서는 최재천이 '유전체'라는 용어를 제안하였다. 유전학에서 나온 학문인 유전체학에서 유전체를 연구하는데, 생정보학 기술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보과학 분야로  이전된다고 지적되다. 유전체학과 함께 단백체학, 전사체학 및 상호작용체학 등이 연구되고 있다. 

  게놈 해독을 통해 유전자와 병과의 관계도 밝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조울병, 난청, 다운증후군에 관한 유전자는 21번 염색체에 있다.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의 생활 습관병은 3% 이상이 유전 요소로 정해진다고 생각하는 학자도 있다. 그러나 게놈 해석은 질병의 예방에 도움이 되는 한편 개인 정보를 침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큰 문제가 남아 있다. 유전 정보는 궁극적으로 중요한 개인정보이기 때문에 유전 정보에 의해 개인이 차별되는 것은 용서되지 않는다는 의견이 있다. 어떻게 개인 정보를 보호해 나갈 것인가는 포스트 게놈 시대의 새로운 과제이다. 

(출처: 위키백과사전)


다음 흥미로울 이야기...


음압격리병실이란?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